국민연금 받으면 기초연금이 줄어든다던데, 사실일까요? 2025년 현재,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을 동시에 받는 사람은 약 450만 명을 넘습니다. 그런데 국민연금액이 일정 수준을 넘으면 기초연금이 최대 절반까지 줄어들 수 있습니다.
기초연금이란 만 65세 이상 고령자에게 기본적으로 지급되는 노후 보장성 연금이며, 국민연금과 중복 수령이 가능하지만 소득 수준에 따라 감액 제도가 적용됩니다.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적용되는 기초연금 감액 기준, 산정 방법, 부부 수급 시 유의점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.
1️⃣ 기초연금의 기본 구조
- 지급 대상: 만 65세 이상, 소득 하위 70%
- 기준연금액: 2025년 월 342,510원
- 국민연금 수령 여부, 재산·소득 등에 따라 금액 조정
- 부부 모두 수급 시 각각 20% 감액
2️⃣ 국민연금 받으면 수령액에 따른 감액 기준
| 구분 | 국민연금 수령액 | 기초연금 적용 |
|---|---|---|
| 일반 수급자 | 513,760원 이하 | 전액 지급 (342,510원) |
| 고액 수급자 | 513,760원 초과 | 감액 산식 적용 (최대 50% 감액) |
| 부부 수급자 | 부부 모두 수급 시 | 각 20% 추가 감액 |
💡 참고: 기준선(513,760원)은 매년 조정됩니다.
3️⃣ 국민연금 받으면 감액 산식 2가지
📘 유형 A: A급여액 산식
기초연금 = (기준연금액 − ⅔×A급여액) + 부가연금액
→ 장기간 국민연금 가입자에게 적용
📗 유형 B: 일반 산식
기초연금 = 기준연금액 × 2.5 − 국민연금 수령액
→ 국민연금액이 클수록 감액폭 증가
4️⃣ 부부 수급 시 감액 구조
| 구분 | 단독가구 | 부부 모두 수급 |
|---|---|---|
| 기준연금액 | 342,510원 | 각 274,010원(20% 감액) |
| 국민연금 수령 60만원 | 약 256,000원 | 약 205,000원 |
| 최저보장액 | 기준연금의 10% | 기준연금의 20% |
5️⃣ 실제 계산 예시
- A씨(단독): 국민연금 45만원 → 감액 없음, 월 342,510원
- B씨(단독): 국민연금 60만원 → 감액 적용, 약 256,000원
- C씨(부부): 각각 60만원 수령 → 각 205,000원
6️⃣ 감액 피하는 꿀팁
- 수급 신청 시점의 소득·재산 정리 필수
- 국민연금 개시 연령 조정으로 수령액 조절 가능
- 국민연금공단 ‘기초연금 예상 조회’ 서비스 활용
7️⃣ 마무리 요약
- 기준연금액(2025년): 342,510원
- 국민연금 51만 원 이하 → 감액 없음
- 국민연금 초과 시 최대 50% 감액
- 부부 수급 시 추가 20% 감액
- 소득·재산 상황에 따라 실제 지급액 달라짐
오늘은 국민연금 받으면 기초연금 줄어드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노후를 준비하는만큼 확실하고 꼼꼼하게 확인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.
추천글 : 휴대폰 번호 변경 후 꼭 해야 할 일 7가지
👉 국민연금받으면 기초연금 얼마나 줄어드는지, 기초연금 예상계산기에서 지금 확인하세요!
